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공부76

면접에서 절대 놓치면 안되는 질문 5가지! - 면접 질문 리스트 사업을 하다 보면 결국 중요한 건 누구와 함께 가느냐입니다.스펙이나 경력보다 더 중요한건 우리 조직과 얼마나 잘 맞는지!, 문제가 발생하면 어떻게 풀어나갈지, 어떻게 성장해나가는지 아닐까요?이번 글에서는 채용 면접 시 대표가 던져보면 도움이 될만한 핵심 질문 5가지를 정리해봤어요.표면적인 답보다는 그 속의 사고방식이나 면접자의 태도를 읽는 것이 포인트랍니다! 면접 질문 리스트 TOP 51. 가장 최근에 해결했던 문제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했나요?이 질문은 지원자의 실제 업무 경험을 기반으로, 문제를 어떤 식으로 정의하고 해결해 나갔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이에요.겉으로 보기에 완벽한 이력서라도, 실제로 본인이 주도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에요.실행력, 문제해결 방식이 진짜인지 확인하.. 2025. 5. 22.
협업 제안이 왔을 때 필수 체크해야 할 3가지 포인트 - 성공적인 협업 사례까지!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브랜드 제휴, 콘텐츠 콜라보, 공동 마케팅, 제품 번들링 등 다양한 협업 제안이 들어오기 시작할거에요.그 자체로는 고마운 기회일 수 있지만, 막상 실행하고 보면 성과는 없고 에너지만 소진되는 협업도 많습니다.특히 대표가 직접 판단해야 할 타이밍에서는 단순 호감이나 느낌보다는 명확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겠죠.오늘은 협업 제안이 처음 와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망설이는 대표님들에게, 체크해야 할 포인트를 알려드릴게요! 협업 전 필수 체크리스트! 1. 이 협업이 ‘우리 고객’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협업은 고객을 위한 것이지, 브랜드끼리의 ‘인스타 콜라보’가 목적이 되어선 안 됩니다.우리 고객 입장에서는 이 협업을 반가워할까?, 우리 핵심 제품이나 서비스와 맥락이 맞을까?.. 2025. 5. 21.
대표가 꼭 알아야 할 기초 재무제표 읽기 사업을 하다 보면 회계사나 세무사에게 맡겨놨다는 이유로 재무제표를 그냥 넘겨보는 경우 많으시죠?😂하지만 대표자가 숫자를 해석하지 못하면 사업의 건강 상태를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는 상태로 운영되는 셈이랍니다.복잡한 회계 지식 없이도 대표자가 직접 핵심만 뽑아볼 수 있는 재무제표 읽기 방법을 알려드려 볼게요.돈이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빠져나가는지 보이기 시작하면 의사결정도, 전략도 훨씬 명확해질 거예요! 재무제표 읽는 법대표님이 가장 기본적으로 봐야 하는 3가지가 있어요.바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인데요.이 3가지를 통해 이익이 나는 구조인지, 자산은 건강한지, 실제로 돈이 남는지 확인이 가능하답니다.이 세 가지를 순서대로 알아볼까요? 손익계산서는 무엇인가?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2025. 5. 20.
성과 없는 광고비, 어디서부터 손 봐야 할까? 요즘 퍼포먼스 마케팅의 효율이 굉장히 떨어지고 있다는 소식이 많이 들리는데요.광고비를 계속 쓰고는 있는데 정작 고객은 늘지 않고, 전환도 없고.. 지출 내역만 잔뜩 쌓이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그렇기에 광고 전략을 제대로 짜지 않으면, 지출에만 잡힐 뿐이지 굳이 투자하는 의미가 없을 수 있어요!이번 글에선 성과 없는 광고비를 구조적으로 진단하고, 실제로 매출과 연결되는 광고 전략을 다시 세우는 방법을 정리해 볼게요. 1. 광고비를 지표로 보는 법보통 광고비를 확인할 때 자주 보는 항목은 대부분 아래와 같습니다.총 집행 비용클릭 수노출 수구매 수하지만 실제 광고 성과를 제대로 보려면 다음 지표 중심으로도 확인을 해주시면 좋답니다.핵심 지표의미전환율 (CVR)클릭 중 실제 구매 또는 문의로 이어진 .. 2025. 5. 19.
초보 대표를 위한 비용 구조 설계 가이드 사업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주하게 되는 질문이 하나 있죠.도대체 사업자금은 어디에, 얼마까지 써도 괜찮은 걸까?실제 현금이 얼마나 필요하고 무슨 항목에 얼마를 쓰는 게 적절한지 감이 없다면대표는 지출에 쫓기고, 조직 운영에 점점 허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대표가 꼭 알아야 할 실전형 비용 구조 설계법을 알려드릴게요!복잡한 재무 지식 없이도 당장 활용 가능한 기준만 정리했습니다. 📌재무 관리 가이드1. 비용을 먼저 ‘구조’로 나눠보세요.비용은 성격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이 구분만 잘해도 지출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여기서 중요한 건! 고정비는 리스크를 만들고, 변동비는 유연성을 만들어준다는 점이에요 :)항목설명예시고정비매출과 무관하게 매달 발생하는 비용인건비, 임.. 2025. 5. 16.
[재무 감각 키우기]월 매출 3천인데 왜 항상 돈이 없을까? 월 매출이 꽤 나온다고 생각했는데도 정작 남는 돈은 없고, 통장 잔고는 항상 부족한 상황.소규모 사업이나 스타트업이라면 한 번쯤 겪어봤을 문제 아닐까 싶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겉보기엔 잘 벌고 있는데 왜 돈이 남지 않는지, 그 원인을 찾고 해결하는 재무 감각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드리려고 해요!천천히 읽어보시고 사업에 적용해 보세요. 대표님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매출이 곧 수익은 아닙니다!대표적인 오해 중 하나가 매출이 늘면 돈도 늘 거라는 생각입니다.하지만 매출은 ‘들어온 돈’ 일뿐, 이 안에는 이미 빠져나가야 할 돈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무조건 수익이 늘 거라고 보장할 수는 없답니다.구분항목 예시매출3,000만원매출원가 (COGS)상품 제작비, 외주비, 수수료 등고정비인건비, .. 202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