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리더십3 대표 혼자 바쁘면 안 되는 이유 – 레벨업 구조 만들기 대표님들, 아직도 바쁘게 뛰어다니시며 일하고 계신가요?만약 회사가 안정적인 매출을 내고, 성장을 하고 있지만 대표자 혼자 점점 더 바빠지고 있다면,조직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에게 계속 의존하고 있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대표가 직접 운영, 영업, 고객관리, 콘텐츠, 채용까지 다 한다면 성장은 멈추고 유지에만 에너지를 쓰게 될 수 있기 때문이죠!이번 글에서는 대표가 회사의 전반적인 업무에서 점점 손을 뗄수록 조직이 성장하는 이유와 그걸 가능하게 만드는 레벨업 구조 설계법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 1. 대표가 바쁘면 생기는 구조적 한계처음에는 어쩔 수 없이 대표가 직접 뛰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집니다.하지만 직원이 생기고 매출이 생기는데도 대표자가 혼자서 바쁘다면 아래 같은 구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 5. 14. 직원 5명을 넘기면 ‘조직 설계’를 다시 해야 하는 이유 창업 초기에는 모든 업무를 대표가 챙기고, 몇 명 안 되는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알아서 움직입니다.하지만 인원이 5명을 넘기기 시작하면, 조금씩 일이 엉키기 시작할 거예요.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보이지 않는다.. 책임이 애매하다.. 보고 체계가 엉켜있다.. 등등의 말이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고요.이 시점이 바로, 조직을 다시 설계해야 할 타이밍입니다. 5명이 임계점인 이유?구성원이 2~4명일 때는 자연스러운 협업이 가능합니다.서로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고, 결정도 빠르기 때문이죠.하지만 5명 이상부터는 아래와 같은 현상이 생깁니다.누가 뭘 하고 있는지 파악이 어렵다일을 맡기긴 했는데 결과가 제대로 안 나온다같은 업무를 두 명이 중복해서 하고 있다대표는 여전히 모든 보고와 결정을 받고 있다.. 2025. 5. 13. 성장 멈춘 조직, 어디부터 리빌딩해야 할까? 회사 규모가 조금 커졌고, 팀원도 늘었는데 매출이나 생산성은 제자리이신가요?성장세를 보이던 기업에게 이런 상황, 시점은 대부분 오게 되어있답니다.이땐 어디서부터 손봐야 할지 막막한 감정이 들어 무기력해지는 경우도 있어요.특히나 대표자가 직접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더더욱이 이 글을 읽어보시면 좋아요!이번 글에서는 성장이 멈춘 조직에서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항목과 실질적인 리빌딩 접근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사람이 느는 만큼 결과가 늘지 않는다’는 신호조직이 커질수록 당연히 매출도 오를 줄 알았는데, 결과는 오히려 속도는 느려지고 의사결정은 복잡해지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시점이라면 다음과 같은 신호가 나타나기 시작할 거예요.대표가 여전히 모든 걸 결정하고 있다팀원은 많은데.. 2025. 5. 9. 이전 1 다음